Server/Cent OS

Linux 디스크 관리 - Quota

heyoon2j 2019. 7. 8. 04:41

■ 디스크 관리

· Quota

- 디스크의 사용을 제한

 

· 실습

- yum을 이용해 “quota” 설치

 

- #vi /etc/fstab: File System 정보가 들어있다.

 

- usergroupquota를 적용하기 위해 위와 같이 추가하였다.

- [디바이스 이름(파일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는)]  [마운트 포인트]  [타입]  [옵션]  [Dump]  [Pass]

 

- 옵션

  defaults : rw, nouser, auto, exec, suid 속성을 모두 가지는 옵션

  auto : 부팅 시 자동 마운트

  noauto : 부팅 시 자동 마운트 안 함

  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

  no 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 안 함

  suid : setuid, setgid의 사용을 허용하는 옵션

  nosuid : setuid, setgid의 사용을 거부

  ro (read only) : 읽기 전용

  rw (ead write) : 읽고 쓰기 가능

  user : 일반 계정 사용자들도 마운트 할 수 있는 옵션

  nouser : root mount 가능

  usrquota : 일반 사용자 quota적용

  grpquota : 그룹 quota 적용

  usrjquota=aquota.user,jqfmt=vfsv0 : 커널과 파일 시스템에서 저널링을 지원할 때, 사용자 quota 적용

  grpjquota=aquota.group,jqfmt=vfsv0 : 커널과 파일 시스템에서 저널링을 지원할 때, 그룹 quota 적용

 

- Dump: 0이 아닌 값은 파일 시스템이 백업 되어야 함을, 0은 백업이 없음을 나타낸다. dump라는 파일시스템 자체를 백업할 수 있는 명령어의 사용 여부 결정

 

- Pass: 어떤 파일 시스템이 체크되어야 하는지 순서를 확인.

  0 : 파일시스템이 체크되지 않을 것

  1, 2 : 1이 가장 먼저, 21의 작업이 끝나고 낭 이후에 검사

 

 

- mount -o remount /test: 다시 mount 한다.

 

 

- mount 되어있는 Directory로 이동

- #quotacheck –F vfsv0 –avugm: quota를 체크한다.

- Check Directories가 뜨면 정상적으로 된 것이다.

- 오류 발생 시, 생성되어있는 aquota.user, aquota.group 파일을 삭제하고 다시 quotacheck -F vfsv0 -avugm 실행

 

 

- #edquota –u a: user a에 대하여 quota를 edit 한다.

 

 

- blocks: 해당 크기로 제한(kb 단위)

- inodes: 해당 개수로 제한(디렉터리 포함 파일 개수)

- soft: 사용자나 그룹이 해당 파티션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용량과 파일의 개수를 정의하는 부분으로, Soft Limit를 초과하게 되면 유예 기간에 돌입하게 된다. 유예기간이 지나면 2kb가 남았더라도 사용할 수 없다.

- hard:유예기간과 상관없이 절대로 초과할 수 없는 제한 량.

- 파일 할당량을 soft20480KB, hard 30720KB 할당

 

 

- #edquota –g b: group b에 대하여 quota를 edit 한다.

 

 

- 파일 할당량을 soft20480KB, hard 30720KB 할당

 

 

- #edquota –t: 유예기간 설정

 

 

- 기본값으로 모두 7일이다.

- 여기서는 각각 3, 5일로 설정

 

 

- #quotaon /test: /test에 대해 quota를 시작한다.

- #quotaoff /test: /test에 대한 quota를 종료한다.

 

 

- Test를 위해서 666으로 설정한다.

 

 

- #repquota –a: 현재 quota에 대한 정보 출력

 

 

- 6.7MB짜리 파일을 3개를 넣게 되면, soft로 설정해 두었던 20480KB를 초과하게 되고 그에 따라 warning 문구가 출력된다.

 

 

- 초과하게 되면, 위와 같이 남은 유예기간이 출력된다.

 

 

- 날짜를 강제로 3일 이후로 적용

- grace가 none으로 바뀐다.

 

 

- grace none상태에서는 남은 공간이 있더라도 추가가 불가능해진다.

 

 

- 사용량이 soft 아래로 떨어져야 grace의 상태도 풀리고, 다시 사용 가능해진다.

 

 

- Group b에 속한 User c에 대한 quota

- repquota –ga: g옵션을 붙이면 group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 -a옵션을 줬을 때는 b Group에 속한 user c에 대한 used만이 출력되고 soft와 hard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설정을 Group에 대해 추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g 옵션을 줘서 확인해야 한다.

 

 

- Group guota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oft 할당량을 초과하여 warning 문구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