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HCP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IP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함
- 자동으로 Client에게 IP, Subnet Mask, Default Gateway, DNS, 옵션(임대기간, DHCP Server IP)을 제공
- UDP 67, 68
- 내가 서비스하고 싶은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IP를 고정 IP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바인딩 IP)
○ 통신 순서(DORA)
① Client가 DHCP Server에 신호를 뿌림, Broadcast (Discover)
② DHCP Server가 신호를 받고 정보를 Client에게 보내줌 (Offer)
③ 사용했던 IP를 다시 사용할 때, IP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IP를 다시 사용해도 되는지 확인을 위해 DHCP Server에 요청 신호를 보낸다(Requst)
④ 사용해도 좋다는 신호를 보낸다(Ack)
○ 임대 갱신(Rebinding)
① 갱신기간은 최초 임대기간(IP Lease Time)의 1/2 기간이다(통신 순서의 3, 4번을 진행 / Unicast)
② 첫 갱신이 실패하면 7/8 시점부터 다시 갱신 수행(1, 2, 3, 4번 전부 실행)
③ 임대기간이 끝나면,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Expire 된다(IP 반납)
④ Windows OS의 경우, Expire 되면 APIPA(Automatic Private IP Addressing, 169.254.x.x) 자체적으로 예비 IP를 선택한다.
○ 설치 및 설정
- yum으로 dhcp 설치
- /etc/hdcp/dhcpd.conf: DHCP의 기본 설정 파일 위치
- Sample 파일 위치를 알려준다.
- Sample 파일을 설정 파일에 복사해서 붙여놓는다.
- 설정 파일 설정하기
- DHCP 설정
- subnet 1.0.0.0 netmask 255.255.255.0: 동적 할당할 네트워크 설정
- range 1.0.0.30 1.0.0.200: 30번부터 200번까지 IP를 동적으로 할당, 범위 설정
- fantasia는 예약 설정 이름으로, 변경 가능하다. 여러 개 예약 설정 시, 겹치지 않게 원하는 이름으로 설정하면 된다.
- hardware Ethernet: 예약할 PC의 Mac Address
- fixed-address: 할당할 IP 설정
- 필요한 부분을 빼고 지워준다.
- 서비스 시작
- 정상적으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erver > Cent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Server - FTP(설치 & 설정 / Passive Mode 포함) (0) | 2019.07.08 |
---|---|
Linux Server - DNS(설치 & 설정) (0) | 2019.07.08 |
Linux 패키지 설치 - YUM & Source (0) | 2019.07.08 |
Linux 방화벽 - iptable / firewall (0) | 2019.07.08 |
Linux 네트워크 카드 추가 (0) | 2019.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