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FS
- Network File System
-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를 내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하는 것. 즉 네트워크로 하드디스크를 공유
○ 설치 및 설정
- yum으로 nfs-utils 설치
- #systemctl start nfs : nfs 시작
- #rpcinfo -p : RPC Service들의 정보를 출력해 준다.
- 여기서 봐야 할 서비스는 portmapper, mountd, nfs, nfs_acl, nlockmgr이다.
- rpc.mountd : 클라이언트가 마운트를 요청하면 /etc/exports 파일 설정에 따라 마운트 요청을 처리한다 [1]
- rpc.nfsd : 클라이언트가 rpc.mountd에 의해 마운트 되면, rpc.nfsd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따라 처리한다(/etc/exports에 설정에 따라 작업을 할 수 있다)
- rpc.statd : rpc.rockd와 함께 파일 잠금 해제와 비정상적으로 종료 시 복구를 담당한다.
- rpc.lockd : 파일 잠금을 통해 클라이언트에서 여러 사용자가 한 파일을 수정하는 것을 방지한다.
- Portmap : RPC(Remote Procedure Call) 프로그램을 Port에 Mapping 시켜주는 데몬이다.
- /etc/sysconfig/nfs : nfs 설정 파일
- 포트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랜덤으로 설정되는 포트를 고정시켜줘야 된다.
=> 기본적으로 nfs(2049)와 portmapper(111)는 고정 IP를 사용한다
- LOCKD_Port 주석 제거, rpc.lockd 프로세스 고정 포트 설정
- MOUNTD_Port 주석 제거, rpc.mountd 프로세스 고정 포트 설정
- STATD_Port 주석 제거, rpc.statd 프로세스 고정 포트 설정
- 포트가 고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해당 포트 방화벽 해제
- /test Directory 생성
- /etc/exports : 공유하려는 Directory 설정
=> [공유 Directory] [허용할 IP] [(옵션)]
* 옵션[2]
1) no_root_squash : 일반 사용자도 루트로 읽겠다.
2) root_squash : 클라이언트에서 루트를 서버 상에 nobody 사용자로 매핑한다.
3) all_squach : root를 제외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사용자를 동일한 권한으로 설정
4) no_all_squach : root를 제외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사용자들을 하나의 권한을 가지도록 설정
5) ro : 읽기 전용 모드
6) rw : 읽기 쓰기 모드
7) insecure : 인증되지 않은 액세스도 가능
8) sync : 클라이언트가 파일 쓰기 완료 후 디스크 동기화
- #exportfs -r : nfs 공유 리스트 재 갱신(-r : 파일을 다시 읽어 들인다.)
- 서비스 재시작
- Client에도 nfs 설치
- #mount -t nfs 1.0.0.1:test /client : mount Type은 nfs로 설정, 1.0.0.1:test를 /client에 마운트 시킨다.
- Client에서 생성한 test.txt가 Server에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Server > Cent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Server - FTP SSL 설정 (0) | 2019.07.17 |
---|---|
Linux Server - Mail SSL 설정 (0) | 2019.07.17 |
Cent OS 6과 7 차이 (0) | 2019.07.09 |
CentOS 7 설치 (0) | 2019.07.09 |
Linux Server - Mail(설치 & 설정) (0) | 2019.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