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120

Linux 네트워크 카드 추가

■ 네트워크 카드를 추가하는 방법 - 네트워크 카드 추가하려면 window와 다르게 리눅스는 직접 파일을 만들고 연결시켜줘야 한다. - 해당 Virtual Machine Power Off 상태 -> settings -> Add -> Network Adapter 선택 - 원하는 Network 선택, 여기서는 Host-only Network 선택 - #cp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etc/sysconfig/entwork-scripts/ifcfg-eth1 - Network card 정보를 가지고 있는 eth0을 복사한다.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1 - eth1의 설정 값을 변경한다. Host-Only..

Server/Cent OS 2019.07.08

Linux 디스크 관리 - Quota

■ 디스크 관리 · Quota - 디스크의 사용을 제한 · 실습 - yum을 이용해 “quota” 설치 - #vi /etc/fstab: File System 정보가 들어있다. - user와 group에 quota를 적용하기 위해 위와 같이 추가하였다. - [디바이스 이름(파일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는)] [마운트 포인트] [타입] [옵션] [Dump] [Pass] - 옵션 defaults : rw, nouser, auto, exec, suid 속성을 모두 가지는 옵션 auto : 부팅 시 자동 마운트 noauto : 부팅 시 자동 마운트 안 함 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 no 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 안 함 suid : setuid, setgid의 사용을 허용하는 옵션 n..

Server/Cent OS 2019.07.08

Linux 디스크 관리

■ 디스크 관리 1. Linux 디스크 할당 ① 파티션: 디스크를 쓰기 위해서는 파티션을 해야 한다. 디스크를 사용할 만큼 나눈다. ② 파일 시스템 설정: 타입은 ext2, ext3, ext4, ntfs, vfat, auto 등이등이 있으며, ext2와 ext3부터의 차이는 저널링 기술이 추가되었다. 저널링 기술은 스토리지에 데이터 변경, 삭제를 하면 로그를 저장하는 기술이다. 단점으로는 로그를 남기기 때문에 느리다. ext4는 ext3를 보완한 시스템이다. ③ 마운트: 저장 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를 디렉터리 구조에 편입시키는 작업, 외부장치(Disk 등)에 액세스 할 수 있는 로컬로 사용할 수 있는 링크를 만든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는 마운트 된 장치에만 접근이 가능하다. [1] 2. WIndo..

Server/Cent OS 2019.07.05

Linux 파일관리 - 권한(Perminssion)

■ 파일 관리 1. 파일 Owner, Group 변경 · 명령어: chown owner:group file => -R 옵션: 경로와 그 하위 파일들을 모두 변경한다. => -h 옵션: 심볼릭 링크 자체 파일의 Owner, Group 변경 / 적용하지 않으면 심볼릭 링크가 가리키는 파일의 소유자가 변경된다. - 변경은 슈퍼 유저만 가능하다. · 실습 1) Owner만 변경 2) Group만 병경 3) Owner, Group 모두 변경 4) 변경 시 링크 파일의 변경 확인 - 링크 파일은 바뀌지 않는다. 5) -h 옵션 없이 링크 변경했을 때 - 링크 파일이 아닌 가리키고 있는 b.txt가 변경된다. 6) -h 옵션 추가 후 링크 변경했을 때 - 링크파일 link-b.txt만 변경된다. 2. 파일 권한 변경..

Server/Cent OS 2019.07.03

Linux 사용자 관리 - /etc/passwd & /etc/shadow & chage

■ 사용자 관리 · /etc/passwd -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저장 - password 정보는 /etc/shadow에 따로 분리해서 저장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x로 표시된다. - 필드 1) ● : 사용자명 2) ● : 패스워드 3) ● : User ID(UID) => UID는 리눅스는 500번, 윈도우는 1000번부터 자동으로 할당된다. 4) ● : Group ID(GID) 5) ● : 해당 사용자 계정의 추가 설명 6) ● : Home Directory 7) ● : 로그인 쉘 => shell 명령어 해석기, 입력한 명령어를 기계어로 바꿔서 커널에 전달 => /bin/false, /sbin/nologinshell은 로그인해도 쉘이 필요 없는 또는 접근할 필요가 없을 때 설정한다. 메일 아이디 같은..

Server/Cent OS 2019.07.02

Linux 사용자 관리 - 명령어

■ 사용자 관리 · 명령어 1. 생성, 변경 #useradd a: 사용자 만들기 Ex> useradd -g 1000 b: GID가 1000번인 b 생성(-g는 GID 지정, 해당 group이 있어야 된다) useradd -u 1001 c: UID가 1001번인 c 생성(-u는 UID 지정, GID는 UID와 동일하게 설정) useradd -c babo d: 계정 설명이 babo인 d 생성(-c는 계정 설명 설정) useradd -d /home_1/e e: Home Directory가 /home_1/e인 e 사용자 생성(-d는 Home Directoyr 변경) useradd -s /bin/sh f: /bin/sh를 사용하는 f 사용자 생성(-s는 shell 변경) #passwd a: 패스워드 설정 #gro..

Server/Cent OS 2019.07.02

Linux 파일 관리

■ 파일 관리 파일 속성 · 파일 종류 ● - File: - - Directory: d - Symbolic Link: l · 소유자(Owner) 권한 ● · 그룹(Group) 권한 ● · 그 외 사용자(Other) 권한 ● - r: 읽기 권한, Read - w: 쓰기 권한, Write - x: 실행 권한, Execute · 링크 수 ● - 디렉터리는 디렉토리 안에 링크의 개수 · 소유자 ● - 해당 파일의 소유자를 나타낸다. · 그룹 ● - 해당 파일을 소유한 그룹을 나타낸다. · 파일크기 ● · 파일의 마지막 수정 시간 ○ - 해당 파일에 접근한 시간이 아니다. ○ 추가 설명 #stat : 디렉터리나 파일의 다양한 정보 출력 - MAC 타임 1) access - 접근(Read, Excute) 2) mo..

Server/Cent OS 2019.07.02

Linux 압축, 아카이브 (gzip, bzip2, tar)

■ Linux 압축, 아카이브 ㆍ 아카이브 - 여러 파일을 묶어서 하나로 만드는 거(.tar), 압축을 위해서는 아카이브 파일이 필요하다. #tar: 아카이브 파일 생성 명령 - 옵션 c: 생성, create x: 추출, extract v: 파일 내용 확인, view f: 파일명 지정, 필수 옵션, file t: 아카이브안의 파일 확인 r: 추가,append -C: 파일 위치 변경(ex> tar xvf 12.tar -C /1/2/), Change Directory #tar cvf: 아카이브 파일 생성 Ex> tar cvf 12.tar a.txt b.txt => a.txt, b.txt를 모아서 12.tar 생성 #tar xvf: 아카이브에서 파일 추출 Ex> tar xvf 12.tar -C /1/2/ =>..

Server/Cent OS 2019.07.02

Cent OS 6 - Template 만들기

* Windows에는 sysprep가 있지만, Linux에는 sysprep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간단한 설정이 필요하다. => 설정하지 않으면, 네트워크 카드의 Mac 등이 겹쳐서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않는다. => Cent OS 7은 아래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 네트워크의 정보는 /etc/sysconfig/network-scripts Directory에 들어있다. - 현재 상태는 네트워크 카드가 한 개이기 때문에 eth0만 바꿔주면 된다. - 원하는 Template 상태로 바꿔주면 된다(기존 파일: 왼쪽, 변경 파일: 오른쪽) => 가장 중요한 것은 HWADDR와 UUID를 삭제한다. - ONBOOT: 부팅 시 해당 인터페이스 활성시킬지 여부( yes/no ) - BOOTPROTO: DHCP /..

Server/Cent OS 2019.07.01

Cent OS 6 - 네트워크 설정 변경

-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는 /etc/sysconfig/network-scripts Directory에 들어있다. - 원하는 네트워크 카드를 선택하여 vi 편집기로 편집. - 위는 예시이다. - DEVICE: Device 이름 - ONBOOT: 부팅 시 해당 인터페이스 활성시킬지 여부( yes/no ) - BOOTPROTO: DHCP / STATIC 설정 - IPADDR: IP Address 설정 - NETMASK: 해당 네트워크의 Subnet Mask 설정 - GATEWAY: 게이트웨이 설정 - DNS: DNS 서버 설정

Server/Cent OS 2019.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