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0

Java 개발 환경 구축 및 컴파일 과정

■ Java 개발 환경 구축 및 과정 ㆍ 개발 환경 구축 - Java SE(Standard Edition): 기본 에디션, JVM을 비롯해서 개발에 필수적인 도구와 라이브러리 API를 정의한다. 그리고 자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Java SE 구현체인 자바 개발 키트(JDK: Java Development Kit)를 설치해야 된다. - Java EE(Enterprise Edition): 서버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에디션, 분산 환경(네트워크, 인터넷)에서 서버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도구 및 라이브러리 API를 정의한다. ㆍ Windows ① JDK 다운로드 및 설치 AdoptOpenJDK AdoptOpenJDK provides prebuilt OpenJDK binaries ..

Coding/Java 2020.06.29

커널 모듈(개발 및 수정)

■ 커널 모듈(개발 및 수정) ㆍ 커널 수정 - Ubuntu 14.04.3 버전 1. 커널을 빌드하는 데 필요한 패키지 설치 1) build-essential: gcc, libc6-dev 등의 개발 패키지가 설치된다. 2) libssl-dev: SSL 관련 라이브러리 패키지 -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libssl-dev 2. 커널 빌드 및 설치 1) 현재 사용 중인 커널 버전의 소스를 다운 - $apt-get source linux-image-$(uname -r) => uname -r : 시스템 정보 + 커널 Release 번호 출력 2) 커널 설정 파일 복사 - 커널 코드를 수정하고 기존 설정 파일을 복사한다. - $cp /boot/config-$(uname..

Coding 2020.05.04

Linux Programming 정리

■ gcc - gcc : Linux C 언어 Compiler #gcc -dumpversion : gcc 버전 체크 # sudo yum group install "Development Tools" : gcc나 libc6-dev 등의 개발 패키지 설치(CentOS) #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 Ubuntu ■ make - make : 하나의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일관성 있게 관리하기 위하여 Makefile이라는 형식을 사용하는 유틸리티 # vi Makefile : Makefile 생성 ex> CC=gcc // $(CC)는 gcc로 치환 TARGET=foo // $@는 foo로 치환, $(TARGET)은 $@를 의미 OBJS=foo.o bar.o CFLAG..

Coding 2020.04.24

가상 머신 시스템(Virtual Machine + VMware)

■ 가상 머신 시스템(Virtual Machine, VM) -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상 머신으로는 VirtualBox, VMware 등이 있다. - 여기서는 VMware에 대해서 설명 ㆍ LAN Card - VMnet 0 Bridge: 실제 물리적인 카드(네트워크 어댑터)를 빌린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대역의 IP로 설정해야 한다. 1, 8번 기능을 모두 할 수 있는 만능이지만, 실제 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성능 저하를 일으키고, 외부에 노출되어있기 때문에 보안이 취약하다. - VMnet 1 Host-only: Virtual Machine끼리 통신할 때 사용한다. 통신용 Host이기 때문에 외부와는 통신할 수 없다. - VMnet 8 Network Access: 외부 PC와 통신할 때, VM이 인터넷 접..

Server/Other 2020.04.13

NAT(Network Access Translation + Packet Tracer)

■ NAT(Network Access Translation) - Routing 정보가 서로 공유되지 않는 다른 두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주로 사설망과 공인망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 Port Forwarding: 특정 Port를 특정 Port로 전송하는 방법 * 외부 통신할 때, 무조건 공인 IP로 변경되어야 된다. 그렇기 때문에 Destination IP로 공인 IP를 적어야 된다. 하지만 이런 경우, 사설 IP가 외부(공인 IP)까지 도착하더라도 다른 내부(사설 IP)로 들어가지 못한다. 해결 방법은 해당 공인 IP까지 도착하게 한 다음 Port Forwarding을 통해 연결해야한다. ㆍ NAT 종류 ① Static NAT : 사설 IP와 공인 IP의 1 대 1 ② Dyn..

Network 2020.03.17

ASL(Access Control List + Packet Tracer)

■ ASL(Access Control List) - 액세스 제어 목록은 개체나 개체 속성에 적용되어 있는 허가 목록을 말한다. 이 목록은 누가 또는 무엇이 객체 접근 허가를 받는지, 어떠한 작업이 객체에 수행되도록 허가를 받을지를 지정하고 있다. ㆍ Packet Filtering 기준(4 군데) ① Inside - IN / OUT ② Outside - IN / OUT ㆍ ACL 종류 ① 표준 IP ACL : Source IP Address만 참조하여 Packet을 Filtering / 1~99, 1300~1999 번호 사용 ② 확장 IP ACL : Source, Destination IP Address, TCP, UDP, Port를 참조하여 Packet을 Filtering / 100~199, 2000~2..

Network 2020.03.17

Switch(STP, VTP + Packet Tracer)

■ Switch(STP, VTP) ㆍ STP(Spanning Tree Protocol) - Bridging Loop를 해결하기 위해 IEEE에서 정의한 표준 프로토콜 - 원리는 Switch의 특정 포트를 논리적으로 차단하여 프레임 전송 처리를 못하게 하는 것 => 전송을 막음으로써 Loop가 없는 구조를 만든다. ○ 동작 과정 1) Root Bridge 선출: Bridge ID가 가장 낮은 Switch가 선출 - Root Bridge: Bridge들 간의 Tree Topology에서 Root Node - Bridge ID = Priority(32768) + VLAN 1 MAC Address (32768과 VLAN 1은 기본 설정 값으로 변경 가능하다) 2) Root Bridge의 모든 Port는 Desi..

Network 2020.03.16

Switch(Inter VLAN, L3 Switch + Packet Tracer)

■ Switch(Inter VLAN, L3 Switch) ㆍ Inter VLAN - 다른 VLAN끼리의 통신을 위해서 Router를 이용하는 방식 ○ 실습(Packet Tracer) 1) Switch 설정 - VLAN 생성, Interface에 VLAN 설정, Switch-Switch 연결에 Trunk 설정 - 가운데 있는 Router에도 포트 배치를 하지 않아도 VLAN 100번을 생성해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마지막 Router와 통신할 때 100은 Tagging 되지 않아서 알 수 없다. 2) Router 설정(Sub Interface 이용) - Sub Interface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Interface부터 켜야 한다. - "."(점)을 이용해서 Sub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Network 2020.03.16

Switch(ARP, VLAN + Packet Tracer)

■ Switch(ARP, VLAN) - 동일 네트워크에서는 MAC Address로 통신하고, 외부 네트워크에서는 IP Address로 통신한다. - 통신 순서 ① 먼저 Subnet을 Check 하여 같은 네트워크인지 확인한다. ② 같은 네트워크인 경우, Gateway가 L2 장비(Switch, Hub)에 신호를 보낸다. 다른 네트워크인 경우, Gateway를 확인하여 설정되어 있으면 신호를 보내고, 설정이 되어있지 않으면 Packet을 버리게 된다. ③ 처음에는 MAC Address를 모르기 때문에 ARP를 뿌려서 MAC Address를 확인한다(ARP는 L3 Protocol) - Broadcast Domain: LAN 상에서 어떤 단말이 Broadcast Packet을 송출할 때, 해당 Packet에 ..

Network 2020.03.15

Routing Protocol(RIP, OSPF, EIGRP + Packet Tracer)

■ Routing Protocol ㆍ RIP Protocol -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UDP/IP 상에서 동작하는 Routing Protocol, RFC 1058 / UDP 520번 포트 - Distance Vector Algorithm 사용, 전체적인 Topology는 알 수 없다. - Metic 값: Hop Count - 방향성만 가지고 있어서 최대 15 까지만 연결 가능하다. - 주기적인 RIP Routing Table Update를 위한 RIP Timer가 있다(즉, 실시간으로 Update하지 않는다) ○ 실습(Packet Tracer) 1) PC 설정 2) Switch 설정 - secret, hostname, line con, vty 등 기본 설정 - Switc..

Network 2020.03.12